세상만사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들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일상다반사
      • 경제 투자
      • IT 과학 기술
      • 직장 이야기
      • BOOK
      • 육아 이야기
      • 국제 안보
      • 여행 탐방
  • 홈
  • 태그
  • 방명록
경제 투자

대기업 vs 공기업 vs 중소기업 - 왜 사람들은 대기업/공기업에 취직하려고 할까

세상에는 무수히 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구직자의 관점에서 봤을 때 세상의 기업들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 공기업, 외국계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이 중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기업, 공기업, 중소기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대기업 삼성, 현대, LG, SK, CJ ,포스코, GS, 한화, 두산 등등. 취직을 준비하는 졸업생들이 원서 한번씩은 들이밀어 봤을 법한 대기업들입니다. 장점 대기업의 장점은 높은 연봉+복지+네임밸류입니다. 기업들마다 차이가 많지만 일부 대기업은 신입 초봉이 5천만원을 훌쩍 넘기기도 하지요. 주택융자나 의료비, 학자금 등 복지체계도 잘 갖추어져 있구요. 또 친척이나 친구들이 어디 취직했냐고 물어볼 때 대답하기도 좋습니다. 구구절절 설명할 필요가 없..

2017. 3. 19. 12:09
경제 투자

삼성전자의 직급파괴 실험, 성공할 수 있을까?

임직원들 상호간에 과장님 차장님 부장님 등 직급 대신 '님'을 붙여 부르도록 시행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직급파괴실험,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기업문화를 선도하는 삼성전자가 수행하고 있는만큼 이를 지켜보는 업계의 관심이 지대한데요. 신선하고 파격적인 실험이지만 정착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것입니다. 일단 저부터도 당장 저희회사 부장님에게 그냥 '님'만 붙여 부르라고 하면 선뜻 입이 떨어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오래된 유교의 영향으로 나이 및 직급에 따른 수직적인 서열화가 매우 중시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이가 한 살만 차이가 나도 형님동생,언니동생으로 위아래를 정하는 것이 한국의 인간관계 문화죠. 이런 문화 속에서 자라난 ..

2017. 3. 18. 00:43
경제 투자

1억 모으기 3년만에 달성한 후기

1억 모으기, 몇년이나 걸릴까요? 매달 100만원씩 저축을 한다면 1년이면 1,200만원, 8년 하고도 4개월을 모아야 1억 모으기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1억 모으기, 3년만에 달성 가능할까요? 3년만에 1억 모으기,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몇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 돈 많이 주는 직장에 취직해야 한다. - 솔로여야 한다. - 돈을 최대한 안쓰고 일만 해야 한다. - 운도 따라주어야 한다. 제가 3년만에 1억 모으기 달성했던 과거의 스토리를 써 보겠습니다. ㅡ ㅡ ㅡ ㅡ ㅡ 지금으로부터 약 10년전 저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갓 취직을 한 상태였습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돈 많이 준다는 대기업에 취직을 할 수 있었는데요, 마침 업황이 호황이라 회사에는 일이 넘쳐나고 있었고, 그래서 매..

2017. 3. 15. 23:54
경제 투자

재테크 잘하는 방법 - 여유를 갖고 중심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재테크 잘하는 방법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재테크 지식? 정보력? 분석능례? 과감한 배팅? 운? 재테크 잘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첫째, 여유를 가지는 것 둘째, 중심을 잘 잡는 것 이 두가지가 재테크 잘하는 방법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한 가지를 더 추가하자면 '운'을 집어넣고 싶군요) 재테크 잘하는 방법의 핵심이 여유와 중심잡기인 이유는, 아무리 지식이 많고 정보가 있고 등등 해도 여유 없이 다급하게 하거나 원칙 없이 이리저리 유행에 휩쓸리다 보면 반드시 손해를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인데요. [여유가 중요한 이유] 똑같은 지식, 똑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더라도 자기돈 가지고 투자를 하는 경우와 빚을 내서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납니..

2017. 3. 14. 23:22
일상다반사

불필요한 장례식 비용 아끼는 방법

결혼식, 돌잔치, 장례식의 공통점은 뭘까요? 일생에 한번 또는 몇 번 치르지 않는 인생의 중요한 행사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비용 뻥튀기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 또한 이 셋의 공통점이지요. 평생 한번인데, 아이를 위하는 건데, 고인을 마지막으로 보내드리는 건데 ... 하면서 비용을 뻥튀기해서 청구를 하는데요, 맞는 말이기도 하고 괜히 마찰 일으키기 싫어서 어어 하다가 그냥 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장례식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어느 장례식장에서 어떤 형식의 장례를 치르느냐에 따라 장례식 비용은 천차만별로 달라지긴 합니다만, 세부적인 장례식 비용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포스팅하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잘하지만 불필요한 장례식 비용을 아끼는 방법에 대해서 써 볼까 합니다. 장례식..

2017. 3. 12. 23:44
경제 투자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과 신인류의 등장, 그리고 신의 탄생

1. 생활 속에 파고드는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일상과 산업현장의 많은 부분이 자동화 되고 있고, 우리사회의 모습과 경제구조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당장 걱정되는 것은 단연 일자리입니다. 공장의 자동화로봇, 자율주행차, 드론, 무인결제창구, 전문가 시스템, 로봇기자, 인공지능 투자시스템 등이 인간의 일자리를 조금씩 잡아먹고 있지요. 단순반복 노동에서 사무,전문직종의 일자리까지 모두 인공지능의 위협을 받고 있는 중입니다. 이런 시스템들은 인간의 형태를 띠고 있지는 않는데요. 팔의 형태, 자동차의 형태, 자판기의 형태, 혹은 형태가 없는 프로그램의 모습으로 사회 곳곳에서 자신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인간형 로봇, 그리고 신인류의 등장 그런데 우리가 보통 인공지능이나 로봇이라..

2017. 3. 11. 00:04
  • «
  • 1
  • ···
  • 421
  • 422
  • 423
  • 424
  • 425
  • 426
  • 427
  • ···
  • 439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일상다반사
    • 경제 투자
    • IT 과학 기술
    • 직장 이야기
    • BOOK
    • 육아 이야기
    • 국제 안보
    • 여행 탐방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세상만사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들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