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기검사 순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알아 보겠습니다. 어디서 받아야 하는데, 검사 받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비용은 얼마나 걸리는지.
1. 안내통지문 수령
자동차를 사고 나서 4년쯤 시간이 지나면, 자동차 정기검사를 해야 하는데요,
집으로 아래 사진과 같은 자동차검사안내 통지서가 우편으로 날아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를 처음 해 보시는 분은 "이게 뭐지?" 할 수가 있습니다.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을 테니까요.
처음 이걸 받았을 땐 순간 "이게 뭐지?"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교통안전공단에서 자동차 정기검사 하라고 집으로 날아오는 통지문인데요, 다른 집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저희 집으로는 이 통지문이 2번 날아왔습니다. 검사일 한달전에, 그리고 약 2주전에 한번 더 날아오더군요.
2. 검사 일정과 장소 확인하기
수령한 안내문을 펴 보면, 검사를 받아야 할 날짜와 함께 거주지 근처의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검사소 위치 안내를 볼 수가 있습니다.
검사장소가 집 근처라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다면 가까운 곳에 있는 지정 민간 정비소를 찾아봐야 할 겁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그냥 주변에 먼저 받아본 사람들한테 물어보면 됩니다. 아니면 지역 커뮤니티 카페에 질문을 올리면 댓글이 달립니다.
3. 정기검사 받으러 가기
준비물 : 자동차 등록증, 보험가입증명서
안내문에 보면 자동차 등록증과 보험가입증명서를 가지고 오라고 되어 있는데요, 보험가입증명서 옆에는 (전산조회가능)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자동차등록증만 가져 가면 되더라구요.
정비소에 가면
1) 접수하고 계산을 한다
교통안전공단에 가면 17,000원 ~ 23,000원 내면 된다고 적혀있는데, 민간 지정 정비소에 갔더기 33,000원 받더라구요. 어쩔 수 없죠. 교통안전공단 검사소는 멀리 있으니..
2) 기다렸다가 차례가 되면 자동차 검사를 받는다
10분도 안 걸리더라구요. 금방 끝납니다.
3) 점검 결과표를 받는다
점검이 끝나면 이렇게 결과표를 줍니다.
그리고 자동차 등록증 뒤에 이렇게 스티커도 붙여 줍니다.
유효기간이 검사일로부터 2년 이네요. 최초 자동차 구매일 이후 4년이 지나면 처음 자동차 정기검사를 받고, 이후 매 2년마다 검사를 받으러 가야 한다는 사실을 이걸 보면 알 수가 있네요.
2년 뒤에 다시 통지문이 집으로 날아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자동차 정기검사 받는 법 까먹을 것 같은데(연말정산 같은 것도 매년 할 때마다 기억이 가물가물하잖아요 ~), 이 포스팅을 2년 뒤에 다시 보면 기억이 새록새록 나겠군요.
이상, 자동차 정기검사 받는 순서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검사 처음 받으시는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