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호가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여러가지 생소한 용어나 개념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PER, PBR, ROE, 시가총액,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 다양한 용어들이 있습니다. 동시호가란 단어도 있습니다. 주식 매매할 때 볼 수 있는 단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시호가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저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시호가란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는 매수, 매도 가격을 실시간으로 받아서 처리를 합니다. 그리고 가격 시간 수량 순으로 처리합니다. 호가가 높을수록 빨리 체결됩니다. 호가가 같다면 시간순으로 처리됩니다. 호가와 시간이 모두 같다면 수량이 많은 주문부터 먼저 처리됩니다. 그런데 동시호가가 적용이 되면 여기서 시간기준은 사라지고 호가와 수량만 기준으로 해서 매매가 처리 됩니다.
동시호가를 적용하는 이유
장 시작전 및 장 마감 직후에 많은 주문이 쏟아질 경우 시간의 전후를 가리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정한 시간대를 정해서 다 모은후 이것들을 같은 시간에 낸 것으로 간주하고 가격 및 수량 우선 원칙을 적용을 해서 한꺼번에 매매를 체결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동시호가 적용 시간
주식시장은 평일 오전 9시에서 오후 3시 30분까지 열립니다. 장 시작 전인 오전 8시 30분에서 8시 59분 사이에 들어온 주문은 동시호가를 적용해서 9시에 체결이 됩니다. 장 마감 직전인 오후 3시 20분에서 3시 29분 사이에 몰린 주문은 3시 30분에 동시에 체결이 됩니다.

동시호가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는 이렇게 매매와 관련된 여러 가지 개념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적용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잘 모르고 무턱대고 투자를 하면 당황하거나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동시호가 개념을 모른다면 내가 3시 20분에 낸 주문에 왜 체결이 안되는지 당황해 할 수 있습니다. 동시호가란 무엇인지 안다면 당황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 동시호가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