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들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N
      • 일상다반사
      • 경제 투자 N
      • IT 과학 기술
      • 직장 이야기
      • BOOK
      • 육아 이야기
      • 국제 안보
      • 여행 탐방
  • 홈
  • 태그
  • 방명록
국제 안보

중국은 대국인가? 중국의 쪼잔함, 그리고 대국으로서의 자질 부족

중국은 대국일까요? 땅덩어리 크기나 인구, 종합 경제력(1인당 말고), 군사력으로 보면 중국은 분명 대국이 맞습니다. 어마어마한 영토에, 인구는 세계에서 제일 많고, 경제력도 미국에 이어 세계2위이고,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력도 상당히 강력하죠. 중국 상하이의 모습 하드웨어적으로는 분명 대국이 맞습니다. 그렇지만 소프트웨어 파워나 리더십, 시민의식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중국은 대국이라고 부르기엔 아직 한참 멀은 것 같습니다. 진정한 대국은 단순히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역량 및 리더십이 있어야 합니다. 미국은 누구나 인정하는 초강대국이자 좋은 싫든 실질적으로 세계를 이끌어가는 리더 국가입니다. 경제력,군사력 같은 하드웨어 파워도 물론 세계 최고이지만,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적 영향력과 전세..

2017. 3. 3. 16:27
국제 안보

후진국의 부자들 - 행복은 국력순이 아니잖아요

아무리 못살고 가난한 나라에도 부자들은 있습니다. 그리고 나라는 비록 못살지언정 상류층들은 어마어마한 부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인도의 뭄바이 가끔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선진국의 부자들과 후진국의 부자들 중 누가 더 행복할까? 누가 자국내에서의 더 권력이 셀까? 누가 더 자유로울까? 사회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는 선진국에서는 부자들은 감시와 견제를 받습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어쨋든 후진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그러합니다. 언론들은 부자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고(사실만을 말하는건 아니지만) 각종 시민단체, 정치인 등등이 부자들을 견제합니다. 재산을 물려줄 때는 상속세도 내야 하고, 기부나 봉사활동, 후원 등등을 통해 이미지 관리도 해야 하죠. 잘못 걸리면 국회 청문회에 끌려가서 망신을 당하기도 ..

2017. 2. 21. 23:12
국제 안보

실패한 유럽의 다문화, 그걸 따라가는 한국

언제부터인가 다문화라는 단어가 우리사회에 파고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외국인을 보기 힘들던 우리나라 거리에 외국인들이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관련 방송도 우후죽순으로 생겨났지요. 방송에서는 다문화를 어떻게든 좋게 포장해 보려고 애를 쓰고 있지만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를 추진한 유럽에서는 이미 처참한 실패사례들을 경험해 오고 있고 그로 인한 부작용으로 극우성향의 정당들이 고개를 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 다문화라는걸 추진한 이유는 원래는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함이었는데요. 외국인 노동자를 대량으로 받아들여 저렴한 노동력으로 활용함으로서 인건비를 줄여보고자 한 것인데, 문화가 완전히 다른 외국인들이 갑자기 많이 들어오다보니 부작용이 생기게 되고, 그래서 다문화 정책이라는 것을 통해 이들을 자국문화에 융합..

2017. 2. 12. 23:02
국제 안보

미국 vs 중국, 우리나라는 어느 편에 서야 할까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참 운이 없는 것 같습니다. 서쪽으로는 중국, 북쪽으로는 북한, 동쪽으로는 일본.. 사방이 꽉 막혀 있지요. 이러한 지리적인 특징 때문에 예로부터 지금까지 외침도 참 많이 받았습니다. 북쪽의 국경지대에서는 중국이, 동남해 해안가에는 왜적이 출몰하여 백성들을 죽이고 우리의 재산을 약탈해 갔죠. 그리고 오랫동안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국가를 운영해 왔습니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중국을 상국으로 대하고, 일본에 대해서는 하대했었죠. 통신사를 파견해서 새로운 문물을 전수해 주곤 했습니다. 세월이 흘러 근대에 접어들면서 상황은 역전되었습니다. 서양문물을 받아들여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이 동북아시아 최강자로 떠올랐죠. 조선은 식민지로 전락했고, 중국도 일본의 군대 앞에 무릎을 꿇었습니다. 해..

2017. 2. 4. 22:53
국제 안보

신혼여행지로 유명한 필리핀, 하지만 알고보면 완전 막장국가..

여행에 별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보라카이나 세부는 한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신혼여행지로 유명한 곳이죠. 신혼여행이 아니더라도 비행기로 그리 멀지 않고, 가격도 크게 부담이 없어서 3박4일 정도로 주말에 앞뒤로 연차 붙여서 갔다올 수도 있는 곳입니다. 보라카이 저도 신혼여행은 보라카이로 다녀왔지요. 보라카이는 섬 전체가 여행지고 한국사람들도 많아서 크게 위험한지는 몰랐는데요. 갔다온 후 필리핀에 대해 좀 더 알아보니 생각보다 위험하고 뭐랄까.. 전반적으로 막장을 달리는 국가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말아먹은 경제, 미래에 대한 희망조차 없다 필리핀은 한 때 아시아에서 꽤 잘나가던 나라였으나 지금은 경제적으로 영 별볼일 없는 그저그런 나라로 전락해 버렸습니다. 극심한 양극화로 중산층은 없고, 소수의..

2017. 2. 2. 22:52
국제 안보

북한은 왜 핵에 집착할까?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들이 오랫동안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만, 사실상 아무것도 해결이 되지 않은체 이렇게 시간만 흘렀고 결국 북한은 사실상의 핵보유국이 되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고는 하지만, 이미 가지고 있는데 인정을 안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지요. 우리나라만 다급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북한은 무엇 때문에 이렇게 국제사회의 엄청난 제재 속에서도 핵을 포기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대한민국을 적화시키기 위해서라는 시각도 있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일종의 협박성 무기라는 해석도 있는데요, 그 목적이야 어떠하든,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못하고 경제를 파탄시켜 가면서까지 이렇게 집착을 하는 이유는, 대한민국과의 모든 경쟁에서 패배한 북한이 유일하게 한국을 상..

2017. 1. 30. 16:15
  • «
  • 1
  • ···
  • 8
  • 9
  • 10
  • 11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N
    • 일상다반사
    • 경제 투자 N
    • IT 과학 기술
    • 직장 이야기
    • BOOK
    • 육아 이야기
    • 국제 안보
    • 여행 탐방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세상만사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들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