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히다 뭍히다 올바른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상 생활을 하다 보면 헷갈리는 표현을 종종 마주치게 됩니다. 되요 돼요 안돼 안되 안 않 등과 같은 표현들이 잘 헷갈리는 표현들입니다. 이 외에도 헷갈리는 표현들이 다양하게 있습니다. 묻히다 뭍히다도 그러한 헷갈리는 표현들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묻히다 뭍히다 올바른 표현 알아보겠습니다.
묻히다 뭍히다 올바른 표현은
묻히다 뭍히다 중 올바른 표현은 "묻히다" 입니다. 묻히다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습니다.
1. 물건이 흙이나 다른 물건 속에 넣어져 보이지 않게 덮이다. '묻다'의 피동사.
2. 일이 속 깊이 감추어져 드러나 지 않게 되다. '묻다'의 피동사.
3. 의자나 이불 같은 데에 몸이 깊이 기대어지다. '묻다'의 피동사.
"묻히다" 가 올바른 표현이므로 헷갈리지 말고 사용하도록 합니다.

뭍히다는 어떤 의미일까
그렇다면 뭍히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뭍히다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국어사전에서 검색을 해 보면 뭍히다로 검색이 되는 결과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뭍히다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묻히다 뭍히다 올바른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발음이 똑같고 받침도 ㄷ ㅌ 으로 비슷하기 때문에 사용하다 보면 많이 헷갈릴 수가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선 틀려도 큰 문제 없습니다. 그렇지만 공식 문서나 메일 등을 작성할 때는 올바른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묻히다 뭍히다 중 올바른 표현은 묻히다 입니다.
이상 묻히다 뭍히다 올바른 표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