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투자 / / 2017. 6. 25. 18:16

부국증권의 자사주 공개매수, 그리고 전개 시나리오

부국증권이 대규모 자사주 매입 공시를 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부국증권 주가 전망 시나리오들을 정리해보고 이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을 써 보겠습니다.


그러려면 먼저 부국증권의 주주 구성을 알아야 합니다.




발행된 주식은 총 13,369,886주이고 그 중 보통주는 10,369,886주 우선주는 3,000,000주입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으니 보통주만 가지고 시나리오를 만들어 봐야겠는데요.





보통주의 주주구성을 보면 오너일가가 2,836,622주(27.35%), 자사주 3,522,901주(33.97%), 리딩투자증권 1,607,289주(15.50%), , 개인투자자 및 기타가 2,403,074주(23.17%)입니다.


오너일가와 자사주를 제외하면 부국증권에서 매수할 수 있는 지분은 리딩투자증권의 지분과 개인 및 기타의 지분을 합쳐 4,010,363주입니다.


23,000원에 200만주를 매수한다 했으니 여기서 대략 몇 가지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겠네요.



[시나리오1. 리딩투자증권의 지분을 매수한다]
리딩투자증권이 지분을 매도하고 부국증권이 이를 매수해서 리딩투자증권의 지분을 흡수하는 시나리오입니다.


리딩투자증권의 보유주식수가 200만주가 안되기 때문에 추가로 개인들의 주식을 더 매수해야 200만주를 채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지분구성도는 아래처럼 되겠지요.





[시나리오2. 개인투자자들의 지분을 매수한다]

리딩투자증권의 지분은 그대로 둔 채 개인투자자 및 기타 보유주식을 매수하면 지분구성도는 아래와 같이 됩니다.





실제 유통되는(리딩유통 지분은 유통가능하긴 하지만 실제 유통은 안되고 있으므로) 주식수가 극도로 줄어들게 되지요. 흔히 말하는 품절주가 됩니다.



그렇다면 상장폐지가 될 가능성은 없을까요?



일단 공시를 통해 상장폐지를 할 계획은 없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자발적"이라는 단어인데요, 스스로 상폐할 생각은 없지만 공개매수 이후 거래량이 극도로 줄어서 상장유지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게 될 수는 있습니다.


이럴 경우 상폐가 되면 부국증권 주식은 비상장주식이 되고, 배당을 계속 받을 수는 있겠지만 팔기가 어려워져서 환금성이 떨어지게 되겠지요. 저같으면 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매도를 고려해 보겠습니다.





[시나리오3. 시나리오1과 2의 중간형태]

리딩투자증권과 개인투자자들의 주식을 각각 일부 매수해서 200만주를 매수하는 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리딩투자증권의 주식을 100만주, 개인투자자들의 주식을 100만주 매수하는 식으로 말이죠.




[시나리오4. 공개매수에 실패하는 경우]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2017.06.25), 부국증권의 주가는 24,250원 입니다. 23,000원에 공개매수한다고 했는데 그 보다 더 높은 가격에 주가가 형성되어 있다면 아무도 공개매수에 응하지 않겠지요. 그러면 부국증권은 본래 매수하고자 했던 200만주에 한참 못미치는 물량만을 확보한 채 공개매수를 끝마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여기에서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파생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겠네요. 


시나리오4-1. 공개매수 조건을 변경한다(ex. 더 높은 가격을 제시)




시나리오4-2. 공개매수 철회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공개매수에 성공을 한다면 기존 주주들에게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자사주는 배당을 주지 않기 때문에 한 주당 지급될 배당금이 증가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죠.


부국증권은 작년에 보통주 1주당 1,200원의 배당을 지급했습니다. 자사주를 제외한 보통주의 수가 6,846,985주 이므로


1,200 x 6,846,985 = 8,216,382,000 원, 82억원 정도를 배당으로 지급했네요.



 


여기서 주식수가 2,000,000만주 감소한 상태에서 작년과 동일한 배당금을 올해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8,216,382,000 / 4,846,985 = 1,695원의 배당금을 보통주 1주당 지급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적이 작년보다 좋게 나온다면 배당이 훨씬 더 많이 나올 수 있게 되겠지요.


투자를 하면서 보유한 종목에서 이런 이벤트가 발생한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 어떻게 전개될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생각나는대로 시나리오를 써 봤는데, 2017.06.30 ~ 7.21 까지, 22일간 진행될 예정이니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 과정을 보면서 모니터링을 해 보아야겠군요.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